1. 사업 목적
- 글로벌 메가 트렌드에 대처하기 위한 학문분야 간 융합화를 촉진한다.
- 우리 대학이 연구·교육하고 있는 학문분야 중 선택적으로 지원하여 타 대학과 차별화, 특화된 비교우위 학문분야(특성화 분야)를 육성한다.
2. 학문분야 특성화 사업단
순서 : 분야 - 사업단 (2018.3 기준)
학문분야 특성화 사업단분야 | 사업단명 | 구성학과 | 단장 |
---|
정책분야 | - 빅 데이터 기반 IT·BT 융합 인재양성 사업단
- 융합전공명 : 빅데이터 컴퓨팅(Big Data Computing) 융합전공
| 의생명시스템학부 컴퓨터학부 | 이정진 |
---|
-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빅 데이터 소프트웨어 사업단
- 융합전공명 : 빅데이터(Big Data) 융합전공
| 소프트웨어학부 스마트시스템소프트웨어학과 정보통계·보험수리학과 | 김성철 |
자율분야 | - ICT 스마트 소재/제품 산업 특성화 사업단
- 융합전공명 : 스마트 소재/제품(Smart Materials and Product) 융합전공
| 화학공학과 유기신소재·파이버공학과 산업·정보시스템공학과 건축학부 | 김주용 |
---|
- 양자개념 기반 나노 소재 교육 중점 사업단
- 융합전공명 : 양자나노(Quantum Nanoscience) 융합전공
| 물리학과 화학과 | 이윤상 |
3. 사업기간
- 사업기간 : 2015.3 ~ 2019.2 (4개년)
4. 성과평가
- 성과평가는 매년 3월에 시행한다.
- 성과평가는 성과관리지표 정량평가와 연단위 사업결과보고서에 대한 정성평가로 한다.
- 성과관리지표 중 목표를 특정한 지표는 그 목표를 달성하여야 한다.
- 연단위 성과평가 후 미흡 시 특성화 지정을 취소한다.
- 지정 취소된 사업단에 속하는 학과(부)는 이후 3년간 학과(부) 단위 지원 사업에서 제외한다.
5. 성과지표
- 사업단은 (최종 확정한)사업계획서에 따라 특성화사업을 추진하며, 성과관리지표로 정한 목표는 달성하여야 한다.
- ※ 사업단에 공통으로 적용하는 핵심지표는 다음과 같다.
핵심지표연번 | 구분 | 지표명 | 평가방법 |
---|
1 | 공통 | 융합형 교과목 수 | - 개설한 융합형 교과목수
- 융합형 교과목: 참여 학과가 공동개발한 학제 간 융합 교과목으로 강의방법 등을 혁신하여 운영하는 교과목
|
---|
2 | 공통 | 융합형 교과목 만족도 | |
---|
3 | 공통 | 이러닝 교과목 수 | |
---|
4 | 공통 | 융합전공을 이수중인 학생 비율(%) | - 융합전공을 이수중인 재학생수/참여 학과 재학생수
|
---|
5 | 공통 | 융합형 교과목 이수학생 비율(%) | - 융합형 교과목을 이수한 학생수/참여 학과 재학생수
|
---|
6 | 공통 |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학생 비율(%) | -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수/융합전공 이수중인 재학생수
|
---|
7 | 공통 | 융합전공 이수 졸업생의 관련 분야 취업률(%) | - 관련 분야 취업자 수/융합전공 이수 졸업생 수
- 기준값: 참여학과 ‘14~’16년 취업률 평균
- 졸업생이 배출되지 않은 융합전공은 본 배점을 나머지 지표별 배점의 비율에 따라 배분
|
---|
6. 학문분야 융합특성화사업 협의기구 운영
- 명칭 : 학문분야 융합특성화사업 운영위원회
- 구성 : 대학교육혁신원장(위원장), 각 사업단장, 자연과학대학장, 공과대학장, IT대학장, 기획조정실장
- 업무
- 운영에 관한 주요사항 심의, 성과평가 방법 및 결과 심의
- 사업 추진 점검(교과, 비교과 프로그램 진행 등)
7. 예산배정 및 집행
- 지원액은 1억원 내외로 하되, 사업단의 규모, 사업의 내용 등을 검토하여 최종 결정한다.
- 융합화 사업과 직접 관련이 있는 비용만 지원 - 사업단장 소속 학과에 예산 배정(별도 예산 항목)한다.
- 본 사업에 선정된 사업단이 CK-Ⅱ사업 등에 선정되어 본 사업비보다 많은 국고지원을 받게 될 경우 본 사업비는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.(본 사업단이 CK-Ⅱ사업 등에 지원하여 탈락하더라도 특성화 지정 취소하지 않는다.)
8. 기타
- 강의혁신
- 블랜디드러닝(Blended Learning), 플립러닝(Flipped Learning), PBL(문제기반학습), CBL(사례기반학습), TBL(팀기반학습) 도입하여 강의방법의 혁신을 꾀하여야 한다. - 환류체계 적용
- 교과, 비교과 등 추진하는 모든 사업에 다음과 같은 환류체계를 적용하여야 한다.
- '필요성 분석 → 사업계획 수립 → 사업 추진 → 사업 평가 → 평가결과 반영 → 사업계획 수립 → 사업 추진 → 사업 평가'
- 담당부서 :
- 기획·평가팀
- 담당자 :
- 추경모
- 이메일 :
- cgm@ssu.ac.kr
- 최종수정일 :
- 2018.04.04